본문 바로가기
월세사업자 꿀팁

월세 중개수수료 계산방법 & 계산기 추천

by kokomnews 2025. 5. 31.
반응형

부동산에서 월세 계약을 진행하다 보면 “중개수수료 얼마예요?”라는 질문이 꼭 나오죠. 그런데 막상 계약서 작성할 때가 되면, 예상보다 높은 금액에 당황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.

 

 

중개수수료는 법적으로 상한이 정해져 있지만, 계산 방식이 다소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어요. 오늘은 월세 중개수수료 계산법을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예시와 함께 알려드릴게요. 마지막엔 추천 계산기 사이트도 소개해드릴게요.

 

 

월세 중개수수료 계산방법 & 계산기 추천

 

 

 


월세 중개수수료 기본 개념

월세 계약의 중개수수료는 보증금과 월세를 합산한 ‘환산금액’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

환산금액 = 보증금 + (월세 × 100)

이 환산금액에 따라 정해진 요율 범위 내에서 협의를 통해 중개수수료를 결정하게 되죠.

 

 

 


지역별 중개수수료 요율표 (주거용 기준)

환산금액 구간최대 요율 (상한선)

5천만 원 이하 0.5%
5천만 원 초과 ~ 1억 원 이하 0.4%
1억 원 초과 ~ 3억 원 이하 0.3%
3억 원 초과 ~ 6억 원 이하 0.4%
6억 원 초과 0.5%

※ 위 요율은 법적 상한선이며, 중개사와 협의로 낮출 수도 있어요.

 

 

아래에서 지역별 중개보수 요율 확인해보세요!

 

 

 

 

👉 지역별 중개수수료 확인하기

 

 

 


월세 중개수수료 계산 예시

예시 1: 보증금 1,000만 원 / 월세 50만 원

  1. 환산금액 계산

1,000만 원 + (50만 원 × 100) = 6,000만 원

  1. 요율 확인: 6천만 원 → 0.5% 상한
  2. 중개수수료 = 6,000만 원 × 0.5% = 30만 원 (VAT 별도)

※ 실제 계약 시, 공인중개사와 협의로 25만 원 등 조정 가능

 

 

 

예시 2: 보증금 2,000만 원 / 월세 80만 원

  1. 환산금액 = 2,000만 원 + (80만 원 × 100) = 1억 2000만 원
  2. 요율 확인: 1억 초과 ~ 3억 이하 → 0.3% 상한
  3. 중개수수료 = 1억 2천만 원 × 0.3% = 36만 원

※ 부가세 포함 시 36만 원 × 1.1 = 39만 6천 원까지 가능

 

 


중개수수료 절약 팁

  • 중개사에게 요율 협의 요청 가능 (특히 고가 계약이거나 수요 많은 물건의 경우)
  • 계약 전 견적 요청: 구두 말고 문자 등으로 명확히 받아두기
  • 현금영수증 요청 가능: 경비처리나 소득공제에 유리

월세 중개수수료 계산기 추천

직접 계산하기 어려울 땐 계산기 사이트를 활용하면 편리합니다.

  1. 국토교통부 부동산 중개보수 계산기
    • 네이버 검색: “국토교통부 중개보수 계산기”
    • 지역/보증금/월세 입력 → 자동 계산
  2. 네이버 부동산 계산기
    • 월세 계약 항목에 보증금과 월세만 입력하면 끝
  3. 카카오맵 부동산 서비스
    • 지도 기반 상담 + 계산 기능 제공

 

아래는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중개수수료 계산기입니다.

 

 

 

 

👉 중개수수료 계산기 바로가기

 

 


마무리하며

월세 계약은 단순히 집을 구하는 과정이 아니라 금전적 계약이기 때문에 꼼꼼한 확인이 필요합니다. 중개수수료는 의외로 큰 금액이 될 수 있으니, 계약 전 환산금액과 요율을 꼭 계산해보고, 필요한 경우 협의도 적극적으로 시도해보세요.

예산을 지키는 똑똑한 계약, 계산기부터 활용해보시는 건 어떨까요?

 

 

반응형